본문 바로가기

화살표함수2

[React] 이벤트 처리하기 document.querySelector('button').addEventListener('click', () => { ... })리액트에서는 이런 코드로된 명령형 코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대신 리액트에 시키는 선언형 코드를 사용한다.그리고 이벤트 리스너를 요소에 추가하는 대신 해당 요소에 특별한 prop을 추가한다. 내장 요소 props내장 요소(button, input, li 등)는 on으로 시작하는 prop을 많이 지원한다.  onClick={}onClick에 제공할 값을 함수여야 한다.이벤트가 발생할 때 실행해야 할 함수를 가리키기 때문이다.function handleClick() { ...}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호출해야 하는 함수엔 handle~로 시작하게 이름 짓는 것이 일반적이다.함.. 2024. 7. 9.
[JS] 화살표 함수 화살표 함수란함수 표현식보다 단순하고 간결한 문법으로 함수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말한다.let func = function(arg1, arg2, ...argN) { return expression;}; 위와 같은 함수를아래와 같이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let func = (arg1, arg2, ...argN) => expression 화살표 함수를 아래와 같이 더 간략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매개변수 () 괄호 생략하기화살표 함수가 정확히 하나의 매개변수만 사용하는 경우, 묶는 괄호를 생략할 수 있다.let func = (userName) => { ... } userName이라는 하나의 매개변수만 사용되니 매개변수를 묶는 () 괄호 없앨 수 있다.let func = userName => { .. 2024. 7.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