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Nodejs

[Node.js] process.env.PORT

by Ellen571 2024. 9. 10.
반응형

포트를 설정할 때 다음과 같이 직접 입력할 수 있다.

const port = 5000;

 

 

하지만 위 방식을 권장하지 않는다.

특정 서비스(aws 등)에 배포하는 경우 해당 플랫폼에서 포트를 동적으로 알아서 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WS Elastic Beanstalk으로 배포하는 경우 정적으로 3000 포트를 설정해 놓으면, 아마존이 포트를 구성해 놓고 있기에 500 에러가 발생한다.  

 

process.env.PORT

 

process.env

Nodejs 앱이 동작할 리눅스/유닉스 시스템의 환경변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환경변수 정보를 가지고 있는 env 객체의 속성 중에서 PORT 속성은 동적으로 할당되는 포트를 저장하기 때문에, 플랫폼에서 동적으로 포트를 지정하더라도 문제없이 할당 받을 수 있게 된다.

 

const PORT = process.env.PORT || 4000;

 

동적으로 지정된 포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기타 포트번호'로 지정한 포트가 개설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에러를 사전에 차단하여 보다 안전한 서버 배포가 가능하다.

반응형

'Dev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Array.from()  (1) 2024.09.13
[Nodejs] API  (0) 2020.08.05
[Nodejs] 보안 - path.parse(), sanitize-html  (0) 2020.08.05
[Nodejs] Module  (0) 2020.08.04
[Nodejs]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0) 2020.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