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Nodejs개발자는 파일을 읽을 땐 readFile함수라는 조작장치를 사용하라고 매뉴얼을 만듦
- 조작장치를 Interface라고 함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Application을 Programming하기 위한 Interface
-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든 api를 통해 프로그래밍할 수 있음
API http.createServer([requestListener]) 분석하기
- http모듈의 createServer메소드
- createServer 함수에는 인자로 requestListener(함수)가 와도 됨
- createServer 함수는 http.Server라는 객체를 Return하고 있음
- http.Server에는 server.listen()이라는 함수가 있음
- server.listen()은 요청에 대해 응답할 수 있도록 http 서버를 구동 시킴
- server.listen()의 형식(signatures) : server.listen([port][, host][, backlog][, collback])
- Ex) app.listen(3000); // 서버app의 3000번 포트로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를 구동시켜 응답
반응형
'Dev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Array.from() (1) | 2024.09.13 |
---|---|
[Node.js] process.env.PORT (0) | 2024.09.10 |
[Nodejs] 보안 - path.parse(), sanitize-html (0) | 2020.08.05 |
[Nodejs] Module (0) | 2020.08.04 |
[Nodejs]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0) | 2020.08.04 |